베스트셀러 작가 R.J. 팔라시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자 국내 영화 팬들을 사로잡은 명작 <원더>의 또 다른 이야기를 그린 영화 <화이트 버드>가 오는 3월 12일 국내 극장 개봉을 확정했다.
1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이어진 퓰리처상, 특히나 인정받는 보도 부문의 사진들은 인생에서 한 번쯤 직접 봐야 할 사진들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의 사진을 보며 나는 과거와 현재를 손쉽게 연결 지을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2007년 대만에서 개봉한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은 단순한 로맨스 영화가 아니다. 음악과 판타지적 요소가 절묘하게 결합된 이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았으며, 특히 클래식 피아노 연주 장면과 감성적인 스토리로 깊은 여운을 남겼다.
우리에겐 특별한 날이잖아. 실용적인 주소록을 만들기로 해. 우린 모두 지쳤기 때문에 동의했어요. 무섭게 조용해졌는데, 전화벨이 울렸어요. 내가 모임에 빠진 거 애들이 아니? 이해해. 우린 너무 많아졌으니까. 나는 앰뷸런스에 실려 가는 중이야. 지옥행을 시도했거든.
로맨스 소설이나 드라마에서 종종 나오는, 정말 가슴 절절하고 뜨거운 사랑을 하는 주인공들을 보며, “나도 저런 사랑을 해보고 싶다.”라고 생각한 적이 참 많았다. 하지만 이를 미디어로 대리만족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어느 평범한 직장인이 평일 낮에 잘 다니던 회사를 박차고 뛰쳐나가 떠나가려는 사람을 붙잡을 수 있단 말인가? 또, 재벌가의 막내딸로 태 ...
현대사회에서 사랑이 집착과 폭력으로 변질되어 상처를 주고 상대를 파괴하는 모습을 볼 때, 베르테르의 순수한 사랑이 떠올랐다. 사랑이 만연해진 현대에는 베르테르의 순수한 감정, 강요하지 않는 태도, 폭력 없는 사랑이 필요하다.
베르테르가 품고 있는 사랑은 앞서 내가 언급했던 그 모든 본능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비논리적인 사랑이었다. 종족의 번식도 불가능하고, 사회적 인정도 받지 못하며, 행복의 호르몬도 분비될 수 없는 사랑이다. 쓸모와 무쓸모로 따진다면 100% 무쓸모에 가까운 사랑이리라. 베르테르는 그 무쓸모의 사랑을 자신의 생존의 욕구조차도 뛰어넘는 고통으로 인지하고, 직접 ...
혼자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럴 만한 이유가 몇 개 떠오른다. 며칠 전 지하철에서 만난 이상한 사람 때문일 수도 있다. 일을 하며 불특정 다수의 사람을 만나다 보니 그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치이고 치여서 일수도…. 아니면 출퇴근하는 동안 내 한 몸 지킬 수 있는 공간이 없으며, 이 모든 게 합쳐져 점점 말라가는 스스로 모습에 스트레스를 받아서일 수도 있다.